Gameograf - Best Chrome Live Wallpaper & HD Wallpapers for New Tab
Bookmark
Home / News / [Exclusive] Culture Ministry admits zero agencies ever punished for breaking 2014 law

[Exclusive] Culture Ministry admits zero agencies ever punished for breaking 2014 law

23
news-p.v1.20250918.585be76683d54489a494cf9113fa8df8_T1.jpg

Unregistered talent agencies operated with zero penalties

Chae Hwi-young,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alks during his first press conference held in Seoul on Sept. 4. (Culture Ministry)

For 11 year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ailed to penalize a single unregistered entertainment agency, despite a 2014 law requiring all talent management firms to obtain official licenses.

The revelation comes as cases involving singer Sung Si-kyung and musical actress Ock Joo-hyun brought renewed scrutiny to the widespread practice of operating unregistered one-person agencies. The ministry acknowledged that unregistered agencies have long been in a regulatory blind spot.

“Each year we receive three to four requests to check whether certain companies are properly registered,” a ministry official told The Korea Herald on Thursday. “But as far as I know, since the law took effect in 2014, there has not been a single case where an unregistered agency was punished.”

The official explained that most complaints stem from individuals seeking confirmation that a firm offering to cast them is legitimately registered. Unless an unregistered agency violates other provisions of the law and causes direct harm to the public, authorities rarely take action.

Widespread unregistered agenci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ver 5,000 entertainment companies are registered nationwide. Yet many others continue to operate without registration, and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m all is “virtually impossible.”

“There’s no way to conduct a full-scale inspection of unregistered companies,” the official said. “We can examine those already on the books, but it’s extremely difficult to track down every unregistered operator.”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Culture and Arts Industry, introduced in July 2014, is designed to protect performers from exploitative contracts and bring transparency to profit-sharing in the entertainment sector.

Operating without registration violates Article 26 of the law, carrying penalties of up to two years in prison or a fine of 20 million won ($14,416).

Ministry oversight lax

The ministry’s own lax oversight also contributed to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ministry, most unregistered agencies were established before the 2014 law and were largely unaware of the new legal requirements. Over the past 11 years, the ministry periodically encouraged unregistered agencies to comply through notices and outreach, including the Korea Entertainment Producer’s Association and the Korea Entertainment Management Association. These efforts largely failed to produce results.

However, recent media reports show that several high-profile cases — including those involving singers Ock, Song Ga-in and actor Kang Dong-won — concern one-person agencies established after 2014. The issue only drew broader attention after Sung’s agency was reported to the police via the government’s online complaint portal, prompting the ministry to announce the new registration guidance period on Thursday.

Ock’s company, TOI Entertainment, founded in 2022, also failed to register, which her representatives blamed on incomplete paperwork and a lack of knowledge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Song’s Gaindal Entertainment and Kang’s AA Group, launched in 2024 and 2023, respectively, were also found to be operating without registration.

The raised scrutiny comes as many K-pop stars have also set up their own agencies — including Blackpink’s Jennie, Jisoo and Lisa; Super Junior’s Donghae and Eunhyuk; Momoland’s JooE; and Astro’s Rocky.

The ministry will run a comprehensive registration guidance period until Dec. 31, giving unregistered agencies time to comply voluntarily.

It stressed, however, that agencies registering during the grace period will not be exempt from criminal penalties if they are later found to have violated other provisions of the law or caused harm to the public.

[단독] 문체부, 11년간 미등록 기획사 ‘방치’…처벌 단 한 건도 없었다

성시경·옥주현 사태로 드러난 1인 기획사 무등록 실태

문체부, 11년 방치 끝에 뒤늦은 등록 계도 기간 시행

전수조사 불가능 주장…관리 제도 한계 드러나

문화체육관광부가 2014년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 의무화 법 시행 이후 11년 동안 단 한 건의 미등록 기획사도 처벌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제도는 만들었지만 관리·감독은 사실상 방치해온 셈이다.

최근 가수 성시경과 뮤지컬 배우 옥주현 등이 운영하는 1인 기획사가 미등록 상태로 드러나면서, 업계 전반에 만연한 불법 운영 실태와 함께 문체부의 부실한 행정이 도마 위에 올랐다.

문체부 관계자는 18일 코리아헤럴드에 “매년 3~4건 정도 특정 업체가 등록됐는지 확인해 달라는 민원이 들어오지만, 2014년 법 시행 이후 실제 처벌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등록 의무화 제도가 존재했음에도 당국이 이를 집행할 의지가 없었다는 점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민원 대부분은 캐스팅 제안을 받은 개인이 업체의 합법적 등록 여부를 확인하려는 경우다. 또 상당수 미등록 기획사는 2014년 이전 설립돼 법 제정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설령 적발되더라도 다른 조항 위반이나 직접적 피해 사례가 없는 한 제재는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 문체부의 입장이다.

2014년 1월 제정돼 같은 해 7월에 시행된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은 불공정 계약 방지와 수익 배분 투명성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현재 전국에 등록된 연예기획사는 5천여 곳이지만, 미등록 상태로 운영되는 곳도 여전히 적지 않다.

문체부는 미등록 기획사 전수조사에 한계를 드러냈다. 관계자는 “미등록된 기획사를 전수조사할 방법이 없다. 모든 기획사와 등록 현황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데, 그것은 불가능하다. 등록된 곳은 전수조사가 가능하지만, 미등록된 곳은 확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기획사가 사업자 등록증을 신청할 때 연예 매니지먼트업만 목적에 기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확인이 쉽지 않다. 사업자 등록증을 직접 확인하는 것도 어렵고, 미등록 기획사를 일일이 방문해 실제로 연예 매니지먼트업을 운영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문체부의 안일함은 문제를 더욱 키웠다. 문체부는 법 시행 이후 한국연예제작자협회, 한국연예매니지먼트협회를 통해 등록을 안내하고 독려했다고 해명했지만, 실질적 성과는 거의 없었다. 그 사이 옥주현, 송가인, 강동원 등 최근 적발된 사례들은 모두 2014년 이후 설립된 신생 기획사였다. 사실상 제도를 알리기는커녕 관리 책임조차 제대로 다하지 못한 것이다.

옥주현이 2022년 세운 TOI엔터테인먼트는 서류 미비와 행정 절차 미숙을 이유로 등록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송가인의 가인달엔터테인먼트(2024년), 강동원의 AA그룹(2023년) 역시 미등록 상태였다.

최근에는 블랙핑크 제니·지수·리사, 슈퍼주니어 동해·은혁, 모모랜드 주이, 아스트로 라키 등 케이팝 스타들이 독자 활동을 위해 속속 1인 기획사를 세우고 있어, 관리 사각지대가 더 넓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문체부는 뒤늦게 오는 12월 31일까지 등록 계도기간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계도 기간 이후에도 등록하지 않는 사업자에 대해서는 수사 의뢰나 행정 조사 등 법적 조치를 할 방침이다. 그러나 법 시행 이후 11년 동안 사실상 ‘무대책’으로 일관해온 상황에서, 이번 조치가 실효성을 거둘지는 의문이다.

Source

 
Report

Comments

This will close in 0 seconds